오늘은 4월 3일 입니다. 제주도 4.3 희생자 추모날입니다. 잊지 말아야 할 이야기. 오늘은 제주 4.3 사건에 대해 글을 적어볼까합니다.
1. 제주 4.3 사건이란?
제주 4.3 사건은 1947년 3월 1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해방 후 혼란 속에서 제주도에서 발생한 비극적인 사건입니다. 4.3이라는 숫자는 1948년 4월 3일에 발생한 무장봉기를 가리키지만, 사실 이 사건은 단순한 하루의 반란이 아니라 오랜 기간 지속된 민중 학살과 국가 폭력의 역사라 할 수 있습니다.
1947년 3월 1일, 삼일절 기념식에서 경찰이 군중을 향해 발포해 민간인이 사망하면서 제주도 내에서 경찰과 국민 간의 갈등이 격화되었습니다. 이후 남로당 제주도당이 주도한 4.3 봉기가 일어났고, 정부는 이를 공산 반란으로 규정하며 강경 진압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토벌대와 서북청년단(서청)의 무자비한 학살이 이루어졌으며, 3만여 명의 제주도민이 희생되었습니다. 이는 당시 제주도 인구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숫자로, 그야말로 제주 역사에서 가장 참혹한 사건 중 하나로 기록되었습니다.
2. 4.3의 상처는 사투리까지 삼켜버렸다
최근 방영된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는 제주 4.3 사건을 배경으로 한 시대극이죠. 그러나 시청자들은 한 가지 특이한 점을 발견할 수 있을것입니다. 바로 제주도 사투리가 예상보다 적게 사용된 것이죠. 몇년전 방영된 '우리들의 블루스' 보다 오히려 적게 제주어가 반영된 걸 드라마를 보며 의아해 하셨을겁니다.
왜 제주어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을까?
그 답은 바로 4.3 사건 이후 제주도 사회에서 벌어진 언어 탄압과 집단적 트라우마 속에 있죠.
1. 제주어, 4.3 이후 사라지다
4.3 사건이 끝난 후, 제주도민들은 살아남기 위해 ‘침묵’을 선택해야 했습니다. 학살의 트라우마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피해자와 그 가족들은 제주어를 사용하는 것조차 두려워할 수 밖에 없었죠.
당시 정부와 군경은 제주도를 '빨갱이 섬'으로 규정했고, 제주 출신이라는 이유만으로도 의심받고 탄압하였습니다. 제주어는 서울 표준어와 달랐기에, 타지에서 제주어를 사용하면 쉽게 제주 출신임이 드러났고, 이는 곧 차별과 불이익으로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제주 사람들이 표준어를 사용하려 했고, 부모들은 자녀들에게 제주어를 가르치지 않기 시작했죠. 결과적으로 제주어는 세대 간 단절을 겪으며 급격히 사라지게 됩니다.
2. 드라마 속 ‘제한된 제주어 사용’의 이유
'폭싹 속았수다'가 시대극임에도 불구하고 제주어 사용을 최소화한 이유는 바로 이 역사적 배경에 있다 할 수 있습니다.
4.3 이후 많은 제주 사람들이 표준어를 쓰도록 강요받았기 때문에, 당시 인물들이 자연스럽게 표준어를 사용하는 상황이 연출될 수 있는 것이죠.
넷플릭스 드라마로 전 세계적인 시청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지나치게 제주 사투리를 강조하면 오히려 전달력이 떨어질 수 있어 방언 사용을 줄였을 수도 있지만 극 중에서 '폭싹 속았수다' 같은 제주어 표현을 적절히 삽입하며, 4.3 이후 사라져간 제주어의 흔적을 은근히 강조하고 있는 것이라 할 수 있는 것이죠 .
3. 기억해야 할 역사, 지켜야 할 문화
제주 4.3 사건은 단순한 과거가 아닙니다. 그것은 여전히 제주도민들의 삶 속에 깊이 남아 있는 상처이며, 우리의 역사 속에서 반드시 기억해야 할 비극입니다. 동시에, 이 사건이 제주어 소멸과 같은 문화적 변화까지 초래했다는 점도 중요하게 짚어보아야 합니다.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는 단순한 로맨스가 아니라, 4.3이라는 시대적 아픔을 품고 있습니다. 우리가 이 드라마를 보면서 그 시대의 아픔을 더 깊이 이해하고, 제주어와 같은 소중한 문화까지 다시 돌아볼 수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4.3을 기억하는 진정한 의미가 될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 각질이 많이 생기는 이유와 효과적인 제거방법 (0) | 2025.04.03 |
---|---|
아침에 일어나면 먼저 양치를 해야 하는 이유, 입속 건강을 지키는 방법 (0) | 2025.04.03 |
4월 2일, 사이버 범죄예방의 날, 우리 모두가 지켜야 할 디지털 안전 수칙 (3) | 2025.04.02 |
최악의 봄, 산불로 인한 전국적인 입산 통제 실시 (0) | 2025.04.01 |
만우절의 기원과 유래, 그리고 세계의 만우절 문화 (2)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