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범죄란? 인터넷과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면서 사이버 공간에서 발생하는 범죄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단순한 해킹부터 개인정보 유출, 온라인 사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데요. 오늘은 사이버 범죄의 종류와 예방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사이버 범죄의 주요 유형
피싱(Phishing) 사기
이메일, 문자, 가짜 웹사이트 등을 이용해 사용자의 개인정보(계정, 비밀번호, 카드 정보 등)를 빼내는 수법입니다. 예를 들면 "고객님의 계정이 정지되었습니다. 아래 링크에서 복구하세요"라는 메시지를 받고 링크를 클릭하는 순간 정보가 유출될 수 있습니다.
예방법
- 공식 웹사이트가 아닌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않기
- 금융기관이나 기업에서 요청하는 개인정보 제공 요구는 무시하기
- 이메일 주소와 도메인을 꼼꼼히 확인하기
랜섬웨어 공격
사용자의 파일을 암호화한 후, 이를 풀어주는 대가로 금전을 요구하는 악성 소프트웨어입니다. 예를 들면 특정 파일을 열었더니 "귀하의 파일이 암호화되었습니다. 복구를 원하면 비트코인을 보내세요"라는 메시지가 뜨는 경우입니다.
예방법
- 중요한 데이터는 항상 백업해 두기
- 의심스러운 이메일이나 파일을 다운로드하지 않기
- 최신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업데이트 유지
스미싱(Smishing) & 보이스 피싱
스미싱은 문자(SMS)를 이용한 사기, 보이스 피싱은 전화를 이용한 금융 사기 범죄입니다. 가장 많은 사람들이 당하는 사이버 범죄입니다.
예를 들면 "택배 배송이 지연되었습니다. 확인하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라는 메시지를 통해 악성 앱을 설치하게 유도하는 방식이나 전화를 통한 금융기관사칭 및 경찰청 사칭 전화로 돈이나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방식입니다.
예방법
-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 속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않기
- 경찰청/금융감독원 등 공식 기관의 보이스 피싱 예방 캠페인 참고하기
- 전화로 개인정보(계좌번호, 비밀번호)를 요구하면 100% 사기라고 의심하기
온라인 금융 사기(가짜 투자, 다단계)
"단기간에 고수익을 낼 수 있다"는 거짓 광고로 투자금을 모집하거나 연체료 및 수수료를 핑계로 고액을 요구하고는 잠적하는 방식의 사기입니다.
예를 들면 SNS에서 "하루 30분만 투자하면 월 1000만 원 보장!" 같은 글을 보고 가입했다가 피해를 입는 사례를 흔히 들 수 있습니다.
예방법
- 고수익을 보장한다는 광고는 일단 의심하기
- 금융감독원에서 제공하는 공식 투자사인지 확인하기
- 처음 보는 투자 회사나 앱은 검색해서 사기 사례 여부를 찾아보기
사이버 범죄 예방을 위한 5가지 필수 수칙
안전한 사이버 생활을 위해 꼭 기억하세요!
1. 개인정보 보호 –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하고, 너무 쉬운 비밀번호는 피하기
2. 이중 인증 설정 – 이메일, SNS, 금융 서비스에 2단계 인증(OTP 등)을 활성화하기
3. 백신 프로그램 사용 – 컴퓨터 및 스마트폰에 백신을 설치하고 업데이트 유지
4. 공식 사이트 이용 – 은행, 관공서, 쇼핑몰 이용 시 공식 웹사이트에서만 접속
5. 출처 불분명한 파일/링크 금지 – 모르는 사람이 보낸 링크나 첨부파일은 열어보지 않기
사이버 범죄 예방, 우리가 함께 해야 합니다 인터넷과 모바일이 일상화된 시대에 사이버 범죄는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에서 소개한 예방 수칙을 잘 지킨다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오늘 사이버 범죄예방의 날을 맞아, 가족과 친구들에게도 사이버 보안 수칙을 공유해 주세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에 일어나면 먼저 양치를 해야 하는 이유, 입속 건강을 지키는 방법 (0) | 2025.04.03 |
---|---|
제주 4.3 사건, 기억해야 할 아픔, 이어가야 할 평화 (1) | 2025.04.03 |
최악의 봄, 산불로 인한 전국적인 입산 통제 실시 (0) | 2025.04.01 |
만우절의 기원과 유래, 그리고 세계의 만우절 문화 (2) | 2025.04.01 |
어느 집에나 있는 수건, 교체 시기는 언제일까? (0)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