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최악의 봄, 산불로 인한 전국적인 입산 통제 실시

by 착한야시 2025. 4. 1.
반응형

최근 전국적으로 산불이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정부는 강력한 통제를 결정하였습니다. 산림청과 각 지자체는 산불 예방을 위해 주요 산림 지역의 입산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산불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소중한 산림 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대응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사진출처 : 뉴시스

산불 예방을 위한 전국적인 입산 통제 현황

산림청은 2025년 봄철 대형산불 대비·대응 계획의 일환으로, 산불 위험이 높은 지역의 입산을 5월 15일까지 통제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전체 등산로의 약 24%에 해당하는 7,598km 구간이 5월 15일까지 폐쇄되었습니다. ​또한, 각 지자체도 산불 예방을 위해 자체적인 입산 통제 조치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울산광역시 남구는 2024년 11월 1일부터 2025년 5월 15일까지 산불 예방 및 산림 보호를 위해 583ha의 산림 지역에 대한 입산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전라남도 화순군 또한 2024년 가을철 및 2025년 봄철 산불 조심 기간 동안 산불 예방을 위해 특정 구역의 입산을 통제하고 있습니다.

​대구광역시는 4월 1일부터 입산금지 등의 긴급 행정명령을 발령하였습니다. 입산금지 대상은 팔공산·앞산·비슬산 등 입산객이 많은 주요 9개 구역, 아미산·초례산·마정산·대덕산 등 산불 발생 시 대형화 위험이 큰 구역, 함지산·구봉산 등 과거 산불 발생 지역입니다. 단. 두류 공원 등 독립된 도시공원, 공식 출입로를 갖춘 사찰, 허가된 펜션이나 식당, 케이블카 시설 등 일부 구역은 출입이 허용됩니다.

사진출처 : 산림청 누리집

입산 통제 구역 확인 방법

입산 통제 구역 및 등산로 폐쇄 구간에 대한 상세 정보는 산림청 누리집과 네이버 지도 서비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산행을 계획하시는 분들은 사전에 해당 정보를 확인하여 불편을 최소화하시기 바랍니다.​ 

 

 

산림청 누리집에서는 통제구역 검색을 지도를 통해서도 할 수 있습니다.

사진출처 : 산림청 누리집

 

입산 통제 준수의 중요성

입산 통제는 산불 예방과 산림 보호를 위한 중요한 조치입니다. 무단으로 입산할 경우, 「산림보호법」에 따라 20만 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을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협조가 산불 예방과 소중한 산림 자원 보호에 큰 힘이 됩니다.​

산불 예방을 위한 시민 행동 수칙

입산 통제 구역 준수: 통제된 구역에는 출입을 삼가고, 지정된 등산로를 이용합니다.​

화기 사용 금지: 산림 인근에서 불법 소각이나 흡연 등 화기 사용을 절대 금지합니다.​

신속한 신고: 산불을 발견하면 즉시 119나 해당 지자체에 신고하여 초기 진화가 가능하도록 합니다.​

 

산불은 한순간의 부주의로 발생하여 막대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우리 모두의 작은 노력이 소중한 산림을 지키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산불 예방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관련 지침을 철저히 준수하여 아름다운 자연을 후손들에게 물려줄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합시다.​ 

사진출처 : 조선일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