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5년 4월부터 12월까지 남은 연휴기간은 얼마나 될까?

by 착한야시 2025. 3. 25.
반응형

벌써 2025년의 첫 분기가 지나가고, 아이들은 새로운 학기에 적응을 잘하고 있네요. 적응이 끝난 탓인지 둘째 녀석을 달력을 보며 벌써부터 다음 휴일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습니다. 함께 달력을 보며 올해 남은 연휴를 헤아려보다 보니 올해 생각보다 연휴가 많은 듯하네요. 다음 달인 4월부터 12월까지의 주요 연휴와 최대 연휴 기간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2025년 노는 날

4월

아쉽게도 4월은 일요일을 제외하고는 노는 날이 없네요. 아이가 정말 아쉬워하는데 그 모습이 전 왜 이리도 귀여울까요.

5월

5월의 첫째주 아이들이 1년 중 가장 기다리는 날 중 하나인 어린이날이 있습니다. 5월 5일(월요일)은 어린이날과 부처님 오신 날이 겹치는 날입니다. 이에 따라 5월 6일(화요일)이 대체공휴일로 지정되어 토요일부터 화요일까지 4일간의 연휴를 즐길 수 있습니다. 만약 5월 2일(금요일)에 연차를 사용하신다면, 5월 1일(목요일) 근로자의 날부터 시작하여 최대 6일간의 황금연휴를 계획할 수 있겠죠.​

사진출처 : 네이버달력

6월

6월 6일(금요일)은 현충일로, 주말과 이어져 3일간의 연휴를 제공합니다. 3일간의 짧은 연휴로 가족과 함께 국내 여행이나 휴식을 취하기에 좋을 듯하네요.

사진출처 : 네이버달력

7월

아쉽게도 7월도 연휴가 없네요. 하지만 대부분의 학교는 7월이 되면 여름방학이 시작되죠. 아이들은 방학 엄마는 개학이 시작됩니다.

8월

8월 15일(금요일) 광복절은 주말과 연결되어 또 다른 3일 연휴를 형성합니다. 여름의 끝자락이자 방학 끝무렵으로 방학기간과 연휴기간이 겹쳐 마지막 여행의 성수기가 될 수 있죠. 대부분 이 기간까지 성수기에 포함이 여행계획 시 금전적인 부담이 있죠.

사진출처 : 네이버달력

9월

9월도 아쉽게 일요일 외에는 연휴가 없네요. 엄마로서는 얼마나 다행인지...

10월

매년 가장 연휴가 많은 달이기도 하죠. 특히나 추석이 10월인 경우에는 뭐 연휴랑 아닌 날이 거의 반반인 듯한 느낌.

추석과 개천절, 한글날까지...

10월 3일(금요일) 개천절을 시작으로, 10월 5일(일요일)부터 7일(화요일)까지는 추석 연휴가 이어집니다. 또한 10월 9일(목요일)은 한글날입니다. 만약 10월 10일(금요일)에 연차를 사용하신다면, 10월 3일부터 12일까지 최대 10일간의 긴 연휴를 만끽할 수 있어요. 이 기간은 긴 연휴인 만큼 해외여행이나 장기 휴가를 계획하기에 최적의 시기죠.​ 만약 계획이 있으시다면 미리미리 예약을 하시면 조금이나마 저렴한 가격이 되지 않을까 싶네요.

사진출처 : 네이버달력

11월

그래도 이렇게 퐁당퐁당 연후가 있는 달과 없는 달이 있네요.

12월

아이들이 기다리는 날이 있는 12월입니다. 12월 25일(목요일) 성탄절은 목요일입니다. 12월 26일(금요일)에 연차를 사용하시면 주말과 합쳐 4일간의 마지막 연휴를 만들 수 있겠죠. 연말을 가족과 함께 보내거나 특별한 계획을 세우기에 좋은 기회라 할 수 있겠네요. 그리고 대부분의 학교가 크리스마스이브날 방학을 하는 경우가 많아 아이들과의 여행을 계획하기 좋은 시기입니다.

사진출처 : 네이버달력

연휴를 더욱 알차게 보내기 위해서는 

1. 연차 계획 미리 세우기

연휴 전후로 연차를 사용하여 긴 휴가를 계획하면 더욱 여유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2. 여행 예약 서두르기

인기 있는 연휴 기간에는 여행지나 숙박 시설이 빨리 마감되므로 미리 예약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좀 더 저렴한 가격으로 예약이 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3. 가족과의 시간 소중히 하기

연휴는 가족과의 유대감을 강화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함께하는 활동을 계획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올해 남은 연휴를 잘 활용하여 가족과 함께 소중한 추억을 만들어보세요. 미리 계획을 세우면 더욱 풍성하고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을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