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키우기

신학기 초등학생 독감 유행 증상부터 치료까지 완벽 가이드

by 착한야시 2025. 3. 17.
반응형

새 학기가 시작되면서 초등학생들 사이에서 독감(인플루엔자) 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학교, 학원, 방과 후 활동 등에서 단체 생활이 많아지면서 감염 위험이 커지는 시기죠. 이렇게 유행하는 건 꼭 해줘야 하는 우리 집 둘째 녀석. 이런 유행은 따라가지 않아도 되는데 꼭 하고야 마는 우리 둘째. 둘째 덕분에 독감에 대해 공부해 봤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독감의 주요 증상과 유형, 그리고 독감 치료제의 종류까지 꼼꼼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초등학생 독감, 어떤 증상이 나타날까?

독감은 일반 감기와는 다르게 갑자기 심한 감기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초등학생들은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빠르게 진행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대표적인 독감 증상

  • 고열 :  일반 감기에 비해 38~40℃ 의 고열이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근육통 및 두통 : 몸살이 심하고 온몸이 쑤시고 팔다리에 통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 기침과 가래 : 건조한 기침이 심하며 가래가 동반됩니다.
  • 피로감과 식욕 저하 : 유난히 피곤해하며 식욕이 없어 밥을 잘 먹지 않습니다.
  • 구토와 복통: 특히 어린이들은 위장 관련 증상(구토, 설사, 복통)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독감은 초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빨리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아요.

독감 유형, A형과 B형의 차이점은?

독감 바이러스는 크게 A형과 B형으로 나뉩니다.

구분 A형독감 B형독감
유행성 빠르게 전파, 대유행 가능 상대적으로 전파력 낮음
증상 고열, 근육통, 두통, 오한 발열, 기침, 인후통, 피로
감염 시기 주로 겨울철 (11월 ~ 3월) 연중 발생 가능(특히 봄)
특징 변이가 많아 매년 새로운 변종 발생 감염 후 면역이 생기기 쉬움

 

초등학생의 경우, A형과 B형 모두 걸릴 수 있으며, 동시에 감염되는 경우도 있음 (우리 집 둘째를 보니 겨울엔 A형이 걸리고 이번에 B형이 걸렸어요) ➡ 독감 예방접종을 받으면 중증도를 낮출 수 있으니 예방접종은 필수!

독감 치료제, 어떤 약이 있을까?

독감 치료제는 바이러스의 증식을 막는 항바이러스제입니다.

1. 타미플루 (오셀타미비르)

가장 많이 처방되는 독감 치료제로 A형과 B형 독감 모두 효과적입니다. 증상 발현 48시간 이내 복용하면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보험적용이 되며 5일간 동일한 시간대에 하루 2번 먹어야 합니다.

부작용 : 메스꺼움, 구토 (어린이의 경우 드물게 환각 증상 보고됨)

2. 리렌자 (자나미비르)

흡입형 독감 치료제로 분말 형태입니다. A형, B형 독감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부작용 : 호흡기 환자(천식, 폐 질환 등)에게는 사용 주의

3. 조플루자 (발록사비르 마르복실)

단 1회 복용으로 효과가 있으며 A형, B형 독감에 효과적입니다.  신종 바이러스 변종에도 강한 효과 기대할 수 있어요.

부작용 : 설사, 위장 장애

4. 페라미비르 (라피아타)

주사형 치료제로 타미플루를 복용하기 어려운 경우 사용할 수 있으며 한 번으로 타미플루를 5일간 먹는 효과가 있습니다. 노약자나 면역저하자에게 주로 처방이 되지만 요즘은 일반인에게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보험적용이 되지 않아 가격이 비싼 것이 단점입니다.

 

어린이 독감 치료 시 주의할 점

항바이러스제는 의사의 처방 없이 복용이 되지 않습니다. 독감약은 증상 시작 후 48시간 이내 복용해야 효과적이며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가 필수입니다.

독감 예방하기

  • 독감 예방접종은 필수!
  • 손 씻기 습관을 들이기
  • 기침할 때는 옷소매로 가리기
  • 사람이 많은 곳에서는 마스크 착용
  • 규칙적인 수면과 영양 섭취로 면역력 강화

 

초등학생들은 학교와 학원 등에서 많은 사람과 접촉하기 때문에 독감이 빠르게 전파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이번 신학기에는 독감이 유행하고 있으니, 초기에 증상을 잘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제 아이도 고열이 나서 소아과를 방문해 1차로 검사하니 나오지 않다가 다음날에도 열이 내리지 않아서 다시 검사하니 독감이 판정받고 주사 맞고 왔습니다.

기본적으로 독감에 걸리면 4 ~5일 학교를 갈 수 없으며 해열제를 먹지 않고 24시간 이내에 열이 나지 않으면 등교를 하여도 됩니다. 또는 의사의 진료 확인서에 등교가능 확인 후 등교가 가능합니다. 

독감 예방과 치료는 빠를 수록 좋다고 하니 아이들의 건강한 신학기를 위해, 미리 대비하고 철저하게 예방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