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침실에서 피해야 할 습관 – 숙면을 방해하는 생활 패턴

착한야시 2025. 9. 19.

언젠가부터 현대인들의 수면장애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저 또한 마찬가지인데요 숙면은 단순히 오래 자는 것만으로 완성되지 않습니다. 깊은 수면 단계에 도달해야 몸과 뇌가 제대로 회복되는데, 의외로 우리가 침실에서 무심코 하는 습관들이 숙면을 방해하곤 합니다. 저도 한동안 자기 전에 휴대폰을 붙잡고 SNS를 보다가 아침마다 머리가 무겁고 피곤했던 경험이 있는데, 생활 패턴을 조금 바꿨더니 훨씬 숙면을 취할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침실에서 반드시 피해야 할 습관들을 하나씩 짚어보겠습니다.

1. 스마트폰과 전자기기 사용

많은 사람들이 침실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데, 이는 숙면의 가장 큰 적입니다.

  • 스마트폰의 블루라이트는 멜라토닌 분비를 억제해 뇌를 각성 상태로 만듭니다.
  • SNS, 뉴스, 영상 콘텐츠는 뇌를 자극해 쉽게 잠들지 못하게 합니다.
  • 수면 중 울리는 알람과 진동도 깊은 수면을 방해합니다.

저 역시 자기 전까지 휴대폰을 손에서 놓지 못했는데, 블루라이트 차단 모드를 켜고 잠자기 최소 30분 이전에는 휴대폰을 보지 않게 실천하였습니다. 그리고 머리맡에 휴대폰을 두고 잠들었는데 침대에서 휴대폰을 멀리 두자 훨씬 빨리 잠들 수 있었습니다.

2. 늦은 시간의 카페인 섭취

커피뿐만 아니라 초콜릿, 녹차, 에너지 음료등에도 카페인이 들어 있어 숙면을 방해합니다.

  • 카페인은 체내에서 최대 6~8시간 동안 영향을 줍니다.
  • 잠들기 6시간 전에는 카페인 섭취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예전에는 늦은 오후나 밤에도 커피를 마시곤 했습니다. 그러다 어느날 TV에서 어떤 의사분이 이야기 하시더라구요. "커피를 먹어도 잠이 잘 오시는 분들은 커피를 안마시면 더 잘 주무시지 않을까요?" 라는 말 한마디에 정신이 번쩍 들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잠은 들지만 숙면을 취하지는 못했던 저는 저의 수면장애가 카페인이란 사실을 알게 되었죠. 그렇게 오후 5시 이후에는 카페인이 든 음료를 마시지 않도록 주의하였더니 밤에 뒤척이던 경험이 줄어들고 수면 패턴이 안정적이 되었습니다.

3. 침대에서의 과도한 활동

침대는 오직 잠과 휴식을 위한 공간이어야 합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침대에서 TV를 보거나, 책을 읽거나, 심지어 업무까지 합니다.

  • 이렇게 되면 뇌가 침대를 ‘휴식 공간’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활동 공간’으로 착각하게 됩니다.
  • 결과적으로 침대에 누워도 쉽게 잠이 오지 않고, 얕은 잠을 자게 됩니다.

저는 침대에서 노트북으로 일을 하던 시절이 있었는데, 잠자리에서도 업무 생각이 계속 이어져 불면증처럼 잠을 못 자거나 꿈속에서일을 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러다 침대에서는 조용히 책을 읽거나 명상을 하게되었는데 이후부터는 훨씬 깊은 잠을 잘 수 있었습니다.

4. 과식 또는 야식

야식 정말 끊기 힘드시죠. 하지만 숙면을 위해서는 과감하게 끊으셔야 합니다.

잠들기 전 무거운 식사는 소화를 방해하고 위산 역류를 유발해 숙면을 방해합니다.

  • 기름진 음식, 매운 음식은 소화 기관을 자극합니다.
  • 늦은 밤 배가 고플 때는 바나나, 따뜻한 우유 같은 가벼운 간식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예전에 야식을 먹고 바로 잠들었다가 속이 불편해 몇 번 뒤척였던 경험이 있습니다. 그 뒤로는 저녁을 가볍게 먹고, 배고플 때는 따뜻한 허브차로 대신합니다.

5. 수면을 위한 음주

많은 사람들이 술이 수면을 돕는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반대입니다. 음주는 잠깐의 임시방편일뿐 절대 수면장애를 도울 수 없습니다.

  • 술은 빠른 수면 유도 효과는 있지만, **깊은 수면(REM 단계)**을 방해합니다.
  • 알코올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체온이 올라가고, 자주 깨게 만들어 오히려 피로가 누적됩니다.

저도 예전에 술을 마시면 잠이 잘 오는 것 같아 자주 의존했는데, 아침에 일어나면 항상 몸이 무겁고 숙취 때문에 오히려 피곤했습니다.

6. 침실 온도·습도 관리 소홀

침실 환경을 신경 쓰지 않는 것도 숙면을 방해하는 습관 중 하나입니다.

  • 너무 더운 방은 땀으로 인해 뒤척임이 많아지고,
  • 너무 추운 방은 체온 유지에 방해가 되어 깊은 수면을 어렵게 합니다.
  • 적절한 온도(18~22℃), 습도(40~60%)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저는 여름에 에어컨을 끄고 잔 적이 있었는데, 새벽에 땀 때문에 자꾸 깨서 다음 날 피곤했습니다. 이후 적절한 온도와 제습기를 함께 사용하니 훨씬 숙면할 수 있었습니다.

7. 결론

숙면은 좋은 침구와 인테리어만으로 완성되지 않습니다. 결국 생활 습관이 큰 영향을 미칩니다.

  • 스마트폰 사용 줄이기
  • 늦은 카페인 섭취 피하기
  • 침대에서의 과도한 활동 금지
  • 야식·음주 조절
  • 적절한 온도·습도 유지

이 다섯 가지만 실천해도 숙면의 질이 크게 달라집니다. 저도 이 습관들을 고치면서 아침에 일어날 때 피로도가 확 줄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