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쉽게 따라하는 베개 세탁방법 총정리(솜 메모리폼 라텍스 구스다운)
베개는 하루 중 가장 오랜 시간을 함께하는 생활필수품입니다. 하지만 정작 세탁은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죠. 이번 글에서는 베개 세탁의 중요성부터 종류별 세탁법, 건조 팁, 그리고 적절한 세탁 주기까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1. 베개 세탁의 중요성
우리는 매일 평균 6~8시간을 베개에 얼굴을 댄 채 잠을 잡니다. 이 과정에서 땀, 피지, 각질, 침 등이 베개에 쌓여 세균과 진드기의 온상이 될 수 있어요. 특히 알레르기나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정기적인 베개 세탁은 피부 트러블을 예방할 수 있으며 알레르기를 방지하며 쾌적한 수면환경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그렇다면 베개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요 종류에 따른 세탁법도 다르겠죠. 이제 종류에 따른 세탁법을 알아보겠습니다.
2. 베개 종류에 따른 세탁방법
베개의 재질에 따라 세탁법이 달라지니 베게에 있는 라벨을 꼭 확인하고 세탁하셔야 합니다.

2-1. 폴리에스터/솜 베개
이 재질의 베개는 대부분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이 가능합니다. 이게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죠. 다만, 울코스나 약한 물살을 이용한 세탁을 해야하며 중성세제를 사용해 세탁을 하고 탈수는 약하게 해야 합니다.
세탁을 할 때 팁이 있다면 베개 커버와 분리 후 2개 이상의 베개를 넣고 돌리셔야 합니다. 왜냐하면 세탁기가 회전을 할 때 1개만 넣으면 균형이 맞지 않아서 세탁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마지막 헹굼시 섬유유연제는 사용하지 않은 것이 오랫동안 베개의 형태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2-2. 메모리폼 베개
메모리폼은 물세탁이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별도의 세탁방법이 필요합니다. 표면에 묻은 먼지는 청소기를 이용해 흡입하고 물을 적신 후 꼭 짠 수건이나 천으로 닦아낸 후 그늘에서 완전 건조를 하여야 합니다. 세탁이 쉽지 않은 재질이므로 커버를 자주 교체해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2-3. 라텍스 베개
라텍스 소재는 특성상 물에 약하므로 일반적인 세탁방법과는 다릅니다. 세탁기 사용은 절대 금지입니다. 젖은 타올로 표면만 가볍게 닦아내는 것이 좋으며 얼룩이 생겼다면 중성세제를 푼 물에 천을 적셔 살살 문지른 다음 얼룩을 제거하고 마른 수건으로 꾹꾹 눌러 수분을 흡수하도록 한 후 그늘에서 자연건조하도록 합니다. 물에도 약하지만 직사광선에도 약해 손상의 우려가 있으니 꼭 그늘에서 건조하도록 합니다. 라텍스 베개를 오래 사용하고자 한다면 습기 제거가 필수입니다.

2-4. 깃털/구스다운 베개
이 재질의 베개는 세탁이 조금 어려운 편입니다. 드라이클리닝을 맡기는 것이 좋으나 집에서도 할 수 있습니다. 울코스로 구스다운 전용세제를 이용해 세탁을 하시면 됩니다. 꼭 찬물로 세탁을 하는 것이 좋으며 건조할 때에는 테니스 공을 이용해 함께 넣어 건조기를 이용하면 깃털의 뭉침을 예방하고 본연의 풍성함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건조 후에도 손으로 충분히 두드려 공기를 넣어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건조 시 너무 뜨거운 바람은 깃털이 손상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3. 베개 건조방법
세탁 후 잘못된 건조는 곰팡이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건조도 제품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기본 건조 방법은 비슷합니다.
그리고 꼭 속까지 완전건조를 하여야 악취나 세균, 곰팡이 번식을 막을 수 있습니다.
- 솜, 구스 재질 :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3~4시간 이상 건조
- 라텍스, 메모리폼 : 직사광선을 피하고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자연건조
- 건조기 사용 시 저온 설정, 테니스공이나 수건을 넣어 베개 형태 유지
4. 베개 세탁의 주기
세탁 주기는 베개 종류와 사용 환경에 따라 달라집니다. 기본적인 주기방법이니 참고하세요.
- 폴리에스터/솜 베개: 2~3개월에 한 번
- 라텍스/메모리폼: 3~6개월에 한 번 부분세탁
- 깃털 베개: 3개월~6개월 간격
- 베개 커버는 1~2주마다 세탁이 이상적
잦은 세탁이 어렵다면 자외선 소독이나 베이킹소다를 활용한 간편 탈취법도 추천드립니다.
깨끗한 베개는 숙면의 질을 좌우합니다. 오늘 소개해드린 베개 세탁 방법을 따라 정기적으로 관리해 보세요. 건강한 피부와 상쾌한 아침을 맞이할 수 있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 불청객 모기 조심 2025년 일본뇌염 경보 발령 증상 예방접종 완전정리(질병관리청) (0) | 2025.08.01 |
---|---|
2025년 친환경 보일러 지원금, 60만원 받는 방법(신청절차, 대상자, 첨부서류) (3) | 2025.07.30 |
자녀 2명이면 된다. 2025년 바뀐 다자녀 기준 혜택 받기 총정리 (5) | 2025.07.30 |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하고 5만원 더 받는 방법(특별 소비쿠폰) (0) | 2025.07.28 |
민생회복 소비쿠폰 주유소 사용이 가능할까? 사용처 알아보는 방법 (+2025년 7월) (3) | 2025.07.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