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바꾸는 나의 한 표 | 초등학생을 위한 선거 이야기
여러분은 선거라는 말을 들어본 적 있나요? 선거는 국민이 자신을 대신해 일할 사람을 뽑는 과정이에요. 우리나라에서는 대통령, 국회의원, 시장, 도지사 같은 사람들을 선거로 뽑아요.

1. 선거는 왜 중요할까요?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모든 국민이 나라의 주인이에요. 하지만 한 사람 한 사람이 직접 모든 결정을 내리기 어렵죠. 그래서 우리는 ‘대표’를 뽑아 대신 의견을 내도록 하는 거예요.
그 한 표가 모여 세상을 바꾸는 힘이 된답니다.
2. 투표는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 후보자가 등록해요.
- 국민이 후보의 약속(공약)을 살펴봐요.
- 투표일에 투표소에서 투표를 해요.
- 투표함을 개표해 결과를 발표해요.
이 과정은 모두 공정하고 투명하게 진행돼요. 그래서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정직한 선거가 무엇보다 중요하죠.
3. 학교에서도 하는 ‘어린이 선거’
학교에서도 학급 회장이나 반장을 뽑을 때 선거를 해요. 후보가 공약을 발표하고, 친구들이 투표로 대표를 선택하죠.
이건 어른들의 선거와 아주 비슷해요! 우리도 어린이 선거를 통해 민주주의의 첫걸음을 배우는 거예요.

4. 한 표의 힘
“내 한 표가 뭐가 달라지겠어?”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아요. 모든 표가 모여서 나라의 방향을 정하기 때문이에요.
예를 들어, 환경을 생각하는 사람을 뽑으면 환경을 지키는 정책이 만들어지고, 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을 뽑으면 학교가 더 나아질 수도 있어요.
5. 오늘의 정리
- 선거는 국민이 대표를 뽑는 중요한 과정이에요.
- 투표는 민주주의를 움직이는 힘이에요.
- 한 표가 세상을 바꾸는 시작이에요.
작은 목소리라도 모이면 세상을 바꾸는 큰 힘이 될 수 있답니다.
다음 시간에는 “모두가 행복한 사회를 위해 우리가 할 일”을 주제로, 우리의 참여가 세상을 어떻게 더 밝게 만드는지 함께 생각해보겠습니다.
우리 동네를 더 좋게 만들어요 초등학생을 위한 지역사회 이야기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동네를 떠올려 볼까요?내가 살고 있는 집을 비롯해 친구들이 사는 집 그리고 학교, 공원, 도서관등의 많은 편의시설들이 있죠. 우리가 매일 생활하는 이곳이 바로 ‘지역
frist.kidbebe.com
우리는 서로를 존중해요 존중과 배려의 힘(우리가 함께 만드는 더 나은 세상 9편)
여러분은 “존중”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 있나요? 존중이란, 상대방을 소중히 여기고 예의를 지키는 마음이에요. 친구와 대화할 때, 선생님을 만날 때, 심지어 처음 보는 사람과도 존중이 필요
frist.kidbebe.com
갈등이 생겼을 때 해결하는 방법 친구와 사이좋게 지내는 법
1. 갈등이 생겼을 때 어떻게 할까요?친구랑 게임을 하다가 규칙 때문에 다퉈본 적 있나요? 혹은 자리 때문에 말다툼을 한 적 있나요? 친구들과 함께 있다보면 이런 상황이 자주 또는 가끔발생하
frist.kidbebe.com
2탄 초등학생도 쉽게 이해하는 투표의 의미와 이유, 왜 우리는 투표할까?
"엄마, 투표는 왜 하는 거야?"이런 질문을 해본 적 있나요? 오늘은 우리가 왜 투표를 해야 하는지, 투표가 우리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초등학생인 아이가 쉽게 알 수 있도록 이야기해 볼
frist.kidbebe.com
2025년 대통령선거에 기호 3번이 없는 이유는? 초등학생도 이해하는 쉬운 설명
대통령선거가 다가오면서 곳곳에서 후보자들의 현수막과 후보자들의 선거유세를 자주 볼 수 있습니다. 며칠 전 작은아이와 함께 길을 가다가 선거현수막을 보면 아이가 물었죠."엄마, 왜 이번
frist.kidbebe.com
'아이키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우리 동네를 더 좋게 만들어요 초등학생을 위한 지역사회 이야기 (0) | 2025.11.04 |
|---|---|
| 함께 지키는 규칙의 의미 | 왜 규칙이 필요할까요? (0) | 2025.10.21 |
| 우리는 서로를 존중해요 존중과 배려의 힘(우리가 함께 만드는 더 나은 세상 9편) (0) | 2025.10.02 |
| 우리 모두의 권리를 지켜요 초등학생을 위한 권리와 책임 이야기 (0) | 2025.09.30 |
| 갈등이 생겼을 때 해결하는 방법 친구와 사이좋게 지내는 법 (1) | 2025.09.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