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으로써 비닐과 플라스틱의 재활용 방법은 더욱 중요해졌죠. 제대로 분리수거를 하지 못한다면 실컷 재활용해서 내놓은 비닐과 플라스틱이 재활용되지 못하고 그대로 일반쓰레기로 버려진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오늘은 비닐과 플라스틱 분리수거를 정확하게 하는 방법과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까지 알려드릴게요. 저만 따라오세요.
비닐과 플라스틱, 제대로 구별하기
비닐과 플라스틱은 모두 석유를 원료로 하고 있지만 재활용 과정은 완전히 달라요. 그래서 따로 구별하여 버리셔야 해요.
비닐(비닐, PE, PP, LDPE)
얇고 유연한 재질로 주로 라면봉지, 비닐봉지, 과자봉지, 신문 비닐봉지등이 해당돼요.
플라스틱(플라스틱, PET, PS, PVC, PP, HDPE 등)
단단하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주로 페트병, 음료컵, 플라스틱 용기, 장난감, 칫솔 등이 해당돼요.
쉽게 구겨지고 도 원래대로 펴지면 비닐이라고 생각하시면 쉽고요 반대로 손으로 쉽게 구겨지지 않고 단단하면 플라스틱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올바른 분리수거 방법
재활용가능 여부에 따라 분리해야 합니다.
1. 비닐 분리수거 방법
비닐을 버리실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안쪽에 있는 이물질 제거입니다. 기름 또는 음식물이 묻어 있다면 재활용을 할 수 없으니 일반 쓰레기로 분류하여 버리셔야 해요.
재활용이 가능하게 버리시려면 과자나 라면봉지등은 가위로 자를 후 안쪽을 물로 한 번 헹구어 물기 제거 후 버리시면 되고요 에어캡은 테이프가 붙어있다면 제거하고 버리셔야 합니다. 일반적인 물건을 담은 비닐봉지는 그냥 빨래한다 생각하고 비벼서 세척 후 물기를 대충 제거한 후에 버리시면 돼요.
2. 플라스틱 분리수거 방법
플라스틱은 다양한 종류로 재활용이 가능한 것과 재활용되지 않는 것으로 구별됩니다.
페트병, 플라스틱 용기 등은 라벨이 있다면 라벨을 제거하고 내용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세척 후 분리배출하여야 합니다. 일회용 음료컵의 경우도 똑같아요. 단 빨대와 뚜껑을 분리하고 배출해야 하는 점만 달라요. 또한 배달용기등은 뚜껑과 용기의 재질이 다를 수 있으니 확인 후 배출하여야 합니다.
3. 헷갈리기 쉬운 비닐·플라스틱 Q&A
Q1. 에어캡 일명 뽁뽁이는 어떻게 버려야 하나요?
A : 감싸는 것은 비닐류로 분류되며, 테이프를 모두 제거한 후 재활용으로 버릴 수 있습니다.
Q2. 플라스틱빨대는 플라스틱으로 재활용될 수 있나요?
A : 플라스틱 빨대는 크기가 작아서 재활용 과정에서 걸러지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반 쓰레기로 버리시는 걸 권장해요.
Q3. 코팅된 종이컵&우유팩은 재활용할 수 있나요?
A : 종이컵과 우유팩은 내부에 플라스틱 코팅이 되어 있어 일반 쓰레기나 종이팩 전용수거함으로 버리셔야 해요.
Q4. 플라스틱 재질의 옷걸이는 재활용이 되나요?
A : 플라스틱 옷걸이 재활용되지 않아 일반쓰레기로 분리하여 버려야 해요.
Q5. 일회용 포크나 숟가락도 재활용이 되나요?
A : 재활용이 되는 재질이 대부분으로 이물질이나 음식물을 제거하고 버리면 재활용이 가능해요. 단 음식물을 제거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일반 쓰레기로 분류됩니다.
Q6. 컵라면 용기는 재활용이 되나요?
A : 컵라면 용기는 플라스틱 같아 보이지만 복합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아 재활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요. 그래서 일반쓰레기로 버리는 것이 좋아요. 단 포장용기에 재활용가능 표시가 있다면 세척 후 재활용으로 분리수거를 하시면 됩니다.
4. 비닐·플라스틱 분리수거의 중요한 이유
왜 제대로 분리수거해야 할까요? 재활용이 가능한 제품을 다시 사용함으로써 자원을 재생산하지 않아 순환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보면 환경보호에 도움이 됩니다. 다음 세대가 살아가야 할 지구를 조금이라도 덜 훼손하여 물려줄 수 있는 것이죠.
5. 올바른 분리수거를 실행하는 TIP
- 페트병이나 음료수병은 라벨을 꼭 제거하기
- 이물질을 최대한 제거하여 배출하기
- 비닐과 플라스틱을 따로 배출하기
우리가 무심코 버린 비닐과 플라스틱이 환경파괴의 주범이 될 수도 있습니다. 지금부터 올바른 분리수거하는 습관을 들여 환경을 보호하는데 동참하시는 건 어떨까요?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감 입원비 지원, 받을 수 있을까? 놓치면 손해 보는 꿀팁! (3) | 2025.03.24 |
---|---|
그냥 버리긴 아까운데... 먹다 남은 소주 활용법 (1) | 2025.03.24 |
딱딱한 오렌지 껍질 쉽게 까는 방법 (0) | 2025.03.21 |
독감의 모든 것, A형 독감 vs B형 독감 차이점 및 예방법 (0) | 2025.03.20 |
춘분(春分), 낮과 밤이 같아지는 날 (0)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