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초등학생사회3 의견이 다를 때 우리는 어떻게 할까요? “나는 축구가 좋아!” “아니야, 나는 농구가 더 재밌어!” 친구와 이런 대화를 해본 적 있나요?사람마다 좋아하는 것, 생각하는 것이 다르다는 건 아주 자연스러운 일이에요.사람들은 왜 의견이 다를까요?사람은 모두 다른 경험과 생각을 가지고 있어요. 생김새가 다 다르듯이 생각도 다를 수 있어요. 가족, 친구, 취미, 좋아하는 음식… 모두 다르죠. 그래서 같은 일을 보아도 생각이 다를 수 있어요.다르다는 건 틀린 게 아니에요. 나와 다르다고 틀렸다고 이야기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는 걸 알아야 해요.의견이 다르면 문제가 될까요?의견이 다르다고 해서 반드시 싸우는 건 아니에요. 오히려 서로 다른 생각을 나누면서 더 좋은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어요.예를 들어, 한 명은 ‘운동회는 봄에 하자’고 하고 다른 한 명은.. 아이키우기 2025. 8. 13. 더보기 ›› 우리가 함께 사는 이유는 뭘까요? 초등학생이 배우는 공동체 이야기 “사람은 혼자서도 살 수 있지 않나요?” 이런 생각을 해본 적 있나요?사실 우리는 항상 누군가와 함께 살아가고 있어요. 가족, 친구, 학교, 동네 사람들까지… 오늘은 ‘공동체’라는 말이 무슨 뜻인지, 우리가 왜 함께 살아야 하는지 알아볼게요!1. 공동체란 무엇일까요?공동체는 서로 돕고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임이에요. 가족도 하나의 공동체이며, 학교는 물론 마을, 나라 전체도 모두 공동체랍니다.공동체가 있기에 우리는 안전하고 편리하게 살 수 있는거예요.2. 혼자 살면 어떤 일이 생길까요?우리집에 혹은 우리 마을에 혹은 우리 나라에 나 혼자만 있다면 어떨까요? 길에 쓰레기가 있어도 치울 사람이 없어요아프면 병원도 없고, 도와줄 사람도 없어요불이 나도 소방관이 없으면 위험해요이렇듯 나 혼자만 있다면 할 수.. 아이키우기 2025. 8. 5. 더보기 ›› 6탄 내 나라는 내가 지켜요! 초등학생이 실천하는 민주주의 이야기 초등학생이 할 수 있는 민주주의 내 나라 지키기“어른들만 나라를 지킬 수 있을까?” 그렇지 않아요! 초등학생도 민주주의를 실천하고 내 나라를 지킬 수 있는 방법이 많답니다. 이번에는 ‘어린이 시민’이 할 수 있는 민주주의 이야기를 들려줄게요.아직 투표는 못하지만, 의견은 낼 수 있어요만 18세가 되지 않은 초등학생은 아직 투표권이 없지만,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듣는 것만으로도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거예요.반에서 친구들과 어떤 규칙을 정하거나, 반장 선거에서 누굴 뽑을지 고민하는 것도 좋은 연습이 될 수 있죠.규칙을 지키는 것도 나라를 위한 일이에요학교나 공동생활을 하면서 규칙을 잘 지키고, 차례를 지키며 줄을 서는 것, 쓰레기를 정해진 장소에 버리는 것 등 일상생활에서 하는 이 모든 행.. 아이키우기 2025. 5. 31. 더보기 ›› 728x90 반응형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