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0층 이상 고층건물 화재 발생 시 대피 방법 (저층대피, 피난용 승강기, 구조용 승강기)

착한야시 2025. 8. 19.

어제 저녁, 무심코 TV를 켜두었다가 우연히 예전에 하던〈재난탈출 생존왕〉이라는 프로그램을 보게 되었어요. 평소엔 그냥 지나쳤을 법한 방송이었는데, 그날은 ‘고층건물 화재 발생 시 대피 방법’에 대해 다루고 있었습니다. 프로그램에서 알려주는 내용이 너무 현실적이고 구체적이라서, “만약 내가 저 상황에 처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하는 생각이 절로 들더군요. 실제로 화재는 누구에게나 언제든 일어날 수 있는 위험이기 때문에, 미리 알고 대비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는 걸 새삼 느꼈습니다. 방에 있는 아이를 불러 함께 보면서 알려주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제가 프로그램을 보며 정리한 내용과 함께, 아파트나 건물 층수에 따라 달라지는 화재 대피 요령, 구조 요청 방법, 그리고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는 비상용 엘리베이터와 구조용 엘리베이터의 차이점까지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1. 저층(1~3층) 화재 대피 방법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층수에 따라 대비방법이 달라진다는 점 알고 계셨나요? 

먼저 저층인 경우의 화재 대피방법

  • 즉시 계단을 통해 밖으로 대피
  • 엘리베이터 사용 금지 🚫
  • 젖은 수건이나 옷으로 코·입 막기(호흡기보호), 연기를 피해 자세를 낮추어 한쪽 벽을 짚으며 이동
  • 문을 열기 전 손으로 손잡이가 뜨거운지 안 뜨거운지 ,열기 확인 후 뜨겁지 않다면 문을 열고 탈출 시도 

2. 중층(4~10층) 화재 대피 방법

건물 10층까지는 계단을 이용하여 대피를 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기본 원칙입니다.

3층이상 10층 이하의 건물에는 완강기 설치가 되어있으니 완강기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계단 이용이 원칙
  • 불길과 연기에 막혔을 경우 → 문틈을 젖은 수건으로 막고 구조 신호 보내기
  • 구조 신호를 보낼때는 자신의 위치를 정확하게 알리기 → 밝은 색의 옷이나 이불등을 활용해 창문에서 흔들어 구조요청하기
  • 완강기(비상 대피 장치) 활용하기

3. 고층(11층 이상) 화재 대피 방법

11층 이상의 고층인 경우에는 완강기가 없고, 계단으로 이동도 힘들 수 있어요. 

  • 불길은 위로 번지므로 가능한 한 빨리 아래층으로 이동
  • 계단 접근이 불가능하면 방 안에서 대피 공간 확보 후 구조 요청
  • 경량칸막이를 부수어 옆집으로 대피 가능
  •  

2005년 이후에 시공된 아파트나 건물의 경우 방화문이 설치된 비상 대피공간이 있어요.

4. 초고층(30층 이상) 화재 대피 방법

건축법상 고충건물은 층수가 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20m이상인 견출물을 가르킵니다. 요즘은 아파트도 30층이상인 고층건물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렇게 고층일 경우에는 대피방법 꼭 알고 있으셔야겠죠.

30층 이상의 고층건물에는 화재시 입주민이 대피할 수 있는 피난용 승강기가 필수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화재시 비상전력으로 가동되는 승강기로 이 승강기로 위급상황시 대피하시면 됩니다.

  • 일반 승강기 사용금지 → 화재가 발생하면 연기가 이동하는 통로가 되어 연기에 질식될 우려가 있으며 전력이 차단되어 추락위험이 있음

5. 구조 요청 방법

화재 발생시 지상으로 탈출을 못하고 건물안에 갇히게 될 경우 구조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 119 신고 시 장소·층수·상황·인원을 명확히 전달
  • 창문이나 발코니에서 손전등·밝은 색깔 천·휴대폰 불빛으로 구조 신호 보내기
  • 야간에는 SOS 신호(짧게 3번, 길게 3번, 짧게 3번) 활용

6. 피난용 승강기 vs 구조용 승강기

많은 분들이 “화재 시 구조용 엘리베이터를 타면 되지 않나?” 라고 생각하시지만, 사실 이는 매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두 엘리베이터의 차이를 정확히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 피난용 승강기

  • 정의 : 30층 이상의 고층건물에 화재에 대비하여 만들어진 필수 승강기
  • 용도 : 입주민 및 이용객의 화재대피목적
  • 특징 
    • 화재로 인한 정전시 비상전원의 지속적인 공급으로 계속 이동가능
    • 승강기 앞에 연기 침입이 불가하도록 제연 설비 설치
    • 승강기 출입구에는 불길와 연기를 막을 수 있는 방화문 설치

✅ 구조용 승강기

  • 정의: 화재 등 재난 시 소방관들이 구조 활동을 위해 사용하는 전용 엘리베이터
  • 특징
    • 내화성·방연성이 강화됨
    • 화재 발생 층에서는 자동으로 문이 열리지 않도록 설계됨
    • 소방관이 수동으로 조작
  • 사용 방법
    • 일반 주민은 이용할 수 없고, 오직 소방 구조대만 활용
    • 고층 건물 화재 시 구조대가 구조용 엘리베이터를 통해 진입 및 대피 지원

👉 정리하자면:

  • “피난용 엘리베이터 = 화재나 재난 시 시민들의 대피용으로 활용”
  • “구조용 엘리베이터 = 소방관 전용, 구조 활동용”

7. 대피 시 절대 하지 말아야 할 행동

  • ❌ 엘리베이터 타기 (구조용, 피난용 엘리베이터는 예외)
  • ❌ 불길 돌파 시도
  • ❌ 귀중품 챙기려다 지체
  • ❌ 옥상으로만 무작정 이동

결론

어제 본 〈생존왕〉 프로그램 덕분에, “화재는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위기 상황이고, 미리 대비하는 것이 생명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는 걸 깨달았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 층수별 대피 방법, 구조 요청 요령, 피난용 vs 구조용 엘리베이터 차이까지 알아보았으니, 독자분들도 꼭 기억해 두셨으면 합니다. 작은 준비와 지식이 위기 상황에서 생사를 가르는 결정적 차이가 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