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속을 지키면 모두가 행복해지는 이유

착한야시 2025. 8. 9.

“친구랑 놀기로 했는데, 갑자기 안 온다면 어떨까요?” 기다리는 사람 마음은 아쉽고 속상하겠죠?

그래서 약속을 지키는 건 다른 사람을 존중하는 방법 중 하나예요. 약속을 지키는 건 어른이고 아이고 모두가 해야 하는 당연한 일이죠. 그렇다면 약속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1. 약속이란 무엇일까요?

약속은 서로 “이렇게 하자” 하고 정한 규칙이에요. 시간, 장소, 행동… 어떤 것이든 서로 동의하면 약속이 돼요.

예를 들어, 친구와 ‘3시에 놀이터에서 만나자’라고 말하면 그건 바로 약속이인 것이죠.

약속은 친구, 부모, 선생님등 주변 사람과도 할 수 있고 사회적으로 '이렇게 하자'라고 정해놓은 규칙도 큰 범위로 보면 약속이라 할 수 있어요.

2. 약속을 지키면 좋은 점

우리가 서로 정한 약속을 지키게 되면 좋은 점이 많아요. 좋은 점이 많아지게 되면 약속을 더 잘 지킬 수 있겠죠.

  • 신뢰가 생겨요 — 사람들이 나를 믿게 돼요.
  • 관계가 좋아져요 — 친구, 가족, 선생님과 더 친해져요.
  • 사회가 질서 있게 돌아가요 — 모두가 정해진 규칙에 따라 움직여요.

3. 약속을 안 지키면 어떻게 될까요?

한두 번은 괜찮을 수 있지만, 계속 약속을 안 지키면 사람들이 나를 믿지 않게 돼요.

이건 친구 사이뿐 아니라 학교, 마을, 나라에도 똑같이 적용돼요. 법이나 규칙도 사실 모두가 함께 지키기로 한 ‘큰 약속’이니까요.

그리고 약속이 지켜지지 않으면 사람들 사이의 관계가 나빠지게 되고 사회의 질서가 무너지게 돼요. 처음에는 괜찮았던 것들이 지속되면 결국 사회는 무너져 버리게 되겠죠.

4. 약속을 지키는 방법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 노력하는 것이 중요해요. 약속은 꼭 지켜야 하는 행동이므로 노력해야 해요.

  • 약속 시간을 잊지 않고 잘 기억해요.(기억하기 힘들다면 메모하는 습관을 가지세요)
  • 못 지킬 것 같으면 미리 알려요.(약속은 혼자가 아닌 다른 사람과 함께 하는 것이기에 미리 양해를 구해요)
  • 작은 약속부터 지키는 습관을 만들어요.(가족, 친구 간의 작은 약속을 만들어 실천해 보세요)

특히, “미안해”라고 사과하는 것도 중요해요. 약속을 지키지 못했을 때는 변명보다는 솔직한 마음을 전해야 해요. 내가 왜 약속을 지키지 못했는지 이유를 늘여놓는 것은 상대방의 입장에서는 변명으로 밖에 보이지 않아요. 

진심 어린 사과를 먼저 한 후에 솔직한 이유를 이야기하도록 하세요. 그리고 약속은 꼭 지켜야 하는 것임을 각인시켜 주세요.

5. 사회 속의 약속

학교의 규칙이나 사회의 규칙, 예를 들면, 횡단보도를 건널 때 신호를 지키는 것, 버스 줄 서기 등은 모두 우리가 지켜야 하는 사회 속의 약속이자 규칙이에요.

이런 약속을 모두가 잘 지킬 때, 안전하고 행복한 사회가 만들어져요.

오늘의 정리

  • 약속은 서로를 존중하는 방법이에요.
  • 작은 약속부터 지키면 신뢰가 쌓여요.
  • 사회 규칙도 모두가 함께 만든 약속이에요.

 

약속을 지키는 건 단순히 시간을 맞추는 게 아니에요. 다른 사람의 마음을 지켜주는 일이에요.

내일부터는 더 작은 약속이라도 꼭 지키는 ‘믿음직한 나’가 되어보는 건 어떨까요?

다음 시간에는 “의견이 다를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를 주제로, 서로 다른 생각을 이해하고 대화하는 법을 이야기해 볼게요.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