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값 시세 역대 최고가

착한야시 2023. 12. 3.

안전자산으로 여겨지고 있는 대표적인 금.

현재 금값이 꾸준히 오르고 있으며 매우 높은 시세까지 달성한 시기입니다. 더 중요한 사실은 이 금 시세 상승세가 내년까지 이어질 전망입니다. 왜 이렇게 금값이 오르는 걸까요?


1. 금값이 오르는 이유

크게 두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 번째 이유로는 이스라엘과 하마스 전쟁으로 인한 불안감 때문입니다. 지난 2023년 10월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기습공격하면서 전쟁이 시작되었으며 이로 인해 국제정세가 불안해지면서 금값이 오르기 시작했습니다.

이 전쟁이 점점 장기화될 조짐이 보이기 시작하면서 금값 상승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두 번째 이유로는 미국 금리 인하 가능성 때문입니다. 보통 금은 미국 금리 수익률과 반대로 움직이는 성향을 보입니다. 즉, 금리가 떨어지면 가격이 오르는 상황이 됩니다.

현재 미국은 소비자 물가도 안정이 되었고 고용시장도 진정 국면을 맞이하게 되면서 전문가들은 앞으로 추가적인 금리인상은 없을 것이라 예상했습니다. 내년부터는 기준금리가 더 떨어지지 않을까 기대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하지만 내년 하반기에는 다시 또 오를 것이라고 이야기하는 시선도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금값뿐만 아니라 은값도 오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2. 현재 금값 시세 상황

최근 한국금거래소에서는 순금 돌 반지 1돈의 값이 41만 30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2020년 1월경에는 순금 1돈에 23만 6500원이었던 금값이 2023년 10월에 37만 4000원을 기록하면서 3년 사이에 약 60% 정도 증가하였습니다.

지난해 10월 32만 3000원(14% 증가), 10년 전엔 2013년 18만 5000원보다는 2배나 가격이 올랐습니다. 올해 최고 금액은 2023년 5월로 실리콘밸리뱅크 파산영향으로 온스당 2085.4달러였습니다.

3. 금 투자 방법

금값이 이렇게 오른다면 금을 투자하고 싶은 생각이 생깁니다. 그렇다면 금은 어떻게 투자할까요?

금 투자 방법은 2가지로 은행의 골드뱅킹(일명 금통장)이나 KRX 금시장을 이용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먼저 골드뱅킹의 경우 실물거래 없이 자유로운 입출금이 가능하며 0.01g의 극소량 단위도 거래가 가능합니다. 다만 금 기준가의 1%가 거래수수료로 붙고 차익에 대해서 15.4%의 배당소득세를 납부하여야 합니다. 또 한 가지 주의할 점은 예금상품이 아니기 때문에 5000만 원 예금자보호법이 적용되지 않아 보호받을 수 있는 수단이 없습니다.

 

한국거래소에서 운영하는 KRX금시장을 이용하면 세금을 내지 않기 때문에 가장 적은 거래비용으로 금을 매매할 수 있습니다.여기서는 금 현물은 주식거래하듯이 가격 변동에 따라 투자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단, 실물로 인출할 때에는 부가가치세가 붙고 거래 시에는 증권사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요즘 정말 단어대로 금이 금값이 되어버린 시대가 되었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이 시세 증가가 내년까지 이어져 최고점을 찍을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2년 넘게 지속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최근 발발한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지속되는 미국의 고금리 기조 등 여러 영향으로 금값이 떨어질 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평소에 금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가 갑자기 금값이 오르는 이 상황을 보고 궁금해 알아보았습니다.

경기 불황이 지속되는 요즘 조금이라도 돈이 되는 이야기가 보탬이 되었으면 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